월요장날이라 다녀 오면 그래도 반찬감이 생기는데, 이웃 친구가 오전은 바쁘다고
오후 3시에 집을 나섰다.
자경하는 분들이 가져 온 나물은 거의 파장이었다.
오이가 한창 나오는데 첫물이라고 반들반들 한 것은 2주 전에도 첫물이라고 팔았고,
이제 오이가 한창 나오는 듯 했다.
오이 6개 사 왔다.
반찬이 모자란다 싶으면 썰어서 생저러기 양념으로 무치고,
아니면 깍아서 찍어 먹게 얹고, 국수에 고명으로 얹고,
마트에서 나오니 마트쪽 횡단보도에 앞에 세 사람이 스티로폼 박스에 딸기를
포장해 와서 2박스에 1만원이라고,
가격도 싼데 딸기도 좋아서 금방 팔리지 싶었다.
우리는 처음 보았는데 가끔 온다고 했다.
금요일 농협에서 소고기 국거리와 돼지고기 목살을 세일 할 때 사 두었다.
친구가 일요일 소고기 무국을 끓였더니 맛있더라고 해서,
나는 소고기국에 숙주나물을 넣는데 마침 콩나물 한 봉지 사 오는 길이고,
무가 반토막 있고, 대파, 마늘 다 있으니 집에 오던 길로 냉동실에 넣었던
국거리 팩 2개( 한 근 정도) 를 물에 담그고는 채소를 손질 했다.
저번 주 일요일부터 애매하게 아퍼서 더 아프면 밥도 못할텐데 싶어서
마침 건어물 상회에서 좁질한 우선 먹을 자연산 미역을 한 오리에 5,000원주고 산 것이
있어 소고기도 냉동실에 있었고 국을 끓여서 그 국을 끼니마다 먹는 것이 아니었지만,
남편은 몇일을 먹었다.
나는 2일간은 남편이 밥을 삶아 주는 것 아주 조금 먹었다.
소고기 무국도 스텐리이스 통에 담아 냉장고 두고 몇일을 먹을 수 있을 거다.
식재료 헐하게 파는 곳이 월요장을 돌아 마트까지 이어져서 갔더니,
오후라 거진 다 팔리고, 산마늘을 1만원어치 사 왔다. (집에 와서 저울에 얹었더니 450g)
본격적인 장아지를 담는 것이 아니고, 조림장 수준으로 맛을 맞추어서 팔 팔 끓는간장을
부어서 우선 반찬으로 먹으려고.
내가 생각하는 할머니는 3개 층이다 싶다.
갓 할머니, 본격적인 할머니, 선배 할머니,
지금의 내 주소는 본격적인 할머니이고,
내가 갓 할머니인 시절에는 강원도에 택배 신청으로 곰취, 산마늘을
받아서 아이들을 준다고 장아지를 담았고,
음나무 순도 문경의 블로거가 팔아서 해마다 문자가 오면 한번은 사 먹었고,
본격적인 할머니로 수년을 살고 보니 이젠 내 몸은 여기저기 탈이 나고,
이젠 장아지류도, 음나무순도, 두어번 사 먹던 곰취도 하지 않게 되었다.
반찬 해 먹는 것이 단순해졌다.
돼지고기 목살을 김치냉장고에 두고 차일피일 하다가 일주일이 지났다.
바로 냉동실에 넣을 것을 하면서 약간은 얼어서 꾸둑꾸덕한 것을
삶았는데 고기살은 부드럽고, 더 고소했다.
숙성이 되었던 것이였다.
그 뒤로 또 목살을 4근을 사서 4토막으로 해서
올리브유를 바르고 랲으로 바짝 말아서 비닐 봉지에 하나씩 넣어서 공기빼고
바짝 하나씩 묶어서 김치냉장고에 두었다 마침 아이들이 와서 2개 수육을 했더니
맛나다 했다.
숙성 효과가 있어 고기가 맛이 있었다.
다시 지난 주 금요일 2근을 사다 넣어 두었으니 산마늘을 본격적인 장아지로 담을 것이 아니고,
1회성으로 양이 적게 조림장을 만들어 뜨거울 때 부어서 하루 이상을 재워서 먹을 것이고, (450g)
도시살이는 채소도, 열매채소도, 생선도, 육고기도, 과일도 다 돈을 주고 사기에,
3월 삼동추가 나오고 시금치 나오고,
그러다 엉덩이 빨간 머위나물이 나오고, 달래가 나오고, 4월 초가 되면 쑥국 끓일 쑥이 나오고,
곰취가 나오고 취나물이 나오고 울릉도 취나물이 나오고,
나물이고 생선이고 육고기이고 다 사 먹으니, 귀한 봄나물은 생선보다 더 비싸기도 하다.
봄나물 맛나게 하고,
생선 맛나게 굽고,
때로는 육고기에 쌈으로도, 소고기 국을 끓이기도,
도시사람 사는 것이 그렇다.
봄이 되면 상추를 심어 돌려 따기 하기 전까지는 씨앗 뿌려서 먹고,
고추 열포기 심어서 풋고추 따고, 정구지 조금 심어서 요긴하게 쓰고
그 밖에는 다 사 먹는다.
참 마트에서 나오다 보니 들어갈 때까지는 없었는데,
딸기를 세사람이 파는데, 스티로폼 박스에 담긴것을 2박스에 1만원이라 해서
사 왔다.
소고기 국을 끓였기에 오이는 깎아서 찍어 먹게 했고, 밥상에 딸기도 얹고,
오랫만에 고추가루 넣고 제대로 끓인 소고기 무국은 맛이 있었다.
'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 꽃 한 송이들 (0) | 2022.05.18 |
---|---|
세상따라 우리도 해제 된듯 만나다 (0) | 2022.05.15 |
지난 세월이 허허로울텐데 (0) | 2022.04.29 |
사진 보고 속내 모른 꽃 (0) | 2022.04.29 |
참 바뻤던 날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