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 온 뒤 풀빛처럼

샘물

이쁜준서 2025. 1. 29. 13:29


음식을  이것저것 한상에 많이
올려놓고 먹으면 한 가지 음식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이쁜 사람 옆에  더 이쁜  사람이 있어, 이쁜 것도 구별이 안 되는 것처럼,
새 음식마다의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

우리 집은 제사 모시고 밥 조금 뜨고 각종나물을 주방에서 얹어 내고 평상시도 비빔밥에 고추장을 넣어서 비비지 않는다.

오늘도 밥은 그렇게 펐고,
심심하게 먹기에 삼삼한
간으로  맨 간장 더 넣지 않고
밥 위에 얹은 나물만으로 간이 되었다.
어떻게 떠먹으면 약간 쓴듯한 도라 맛이 어울리고 어떻게 떠먹으면
고사리나물 맛이,
또 어떻게 먹으면    미나리 향이
나고 나물들이 간도 약하게 하고
고추장으로 비비지 않아서,
명절 비빔밥 맛으로 먹었다.

낮에는 동태 전을 9개,
동그랑땡을 5개,
배추 전을 쌈배추로  2개, ( 크기가 작다)
부추 전도 작은  크기로  2개
부쳤다.
맛이 강한 것 없이  부드러운 맛으로
둘이서 먹고도 남았고,
식용유에 구웠던 것이라 생강차로 마무리했다.

딸기가 아주 싱싱했던 것이라
한 번에 5개씩 먹으니 아직도 6개가 남아 있는데 저녁상에 올려야 겠다.
저녁은  설날이니  떡국을 끓일 것이다.

일은 그렇다.
결혼한 첫해 김장 때  채소 도소매 시장이 3Km 정도 되는 거리였는데, 그 시절은 농사 기술이
요즘 같지 못했고, 또 청방이란
배추는 짜리몽띵해서  그 시장에 갔더니 리어카에 100포기를 실어 놓고 농삿꾼이 팔고 있었다.

리어카 채로 사서 우리집까지 끌고 오는데 우리는 오르막 내리막은
도왔다.

아무리 짜리몽땅해도  100포기는 많았고, 그 시절은 고무장갑도 없었고, 찬 물에 씻는 것하며,
양념한 김치포기를 땅에 항아리 묻고 넣는데 넣는 것은 내가 했고,
그렇게  일을 고되게 했고
살아 오면서도  시동생  두 사람, 시누이 한사람  결혼을 시키니
다들 김장은 우리것을 가져  가니
김장은 점점 더 많이  하게 되었다.

그러니 일을 많이 한 사람이라
션찮다 해도 좀 쉬었다 살랑살랑
움직이면  요즘이사 양이 많은 것도 아니고 할 수 있다.




'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막 귀경  (24) 2025.02.01
그리움  (26) 2025.01.31
세상은 인재로/ 설명절에는 대설로 자연재해가  (25) 2025.01.29
쌈배추 무침  (0) 2025.01.28
내복만 사러 이 대목에 마트를 갔다가  (0) 2025.01.27